트레이딩/엘리어트 파동 - 분석
-
[2021.04.14 - 2021.06.22]트레이딩/엘리어트 파동 - 분석 2022. 10. 29. 15:56
[2017.12.17 - 2021.11.10] BTC [2021.04.14 - 2021.06.22] BTC [2021.04.14 - 2021.04.26] 3-3-5 지그재그 파동B : 삼각형 파동C-4 : 삼각형 [2021.04.26 - 2021.05.10] A파동 - 선도 쐐기형 (Leading Diagonal) : 5-3-5-3-5 C파동 - 종결 쐐기형 (Ending Diagonal) : 3-3-3-3-3 [2021.04.14 - 2021.06.22] Crypto Total Market Cap [2021.04.18] BTC & CTMC 차이 - 파동의 시작 위치 차이 - 삼각수렴 차이: BTC에서 먼저 하방이탈하고 나서 CTMC는 한템포 뒤에 하방이탈 - 지그재그 파동C: 0.618 A (BTC),..
-
[2020.03.13 - 2021.04.14]트레이딩/엘리어트 파동 - 분석 2022. 10. 29. 15:47
[2017.12.17 - 2021.11.10] BTC [2020.03.13 - 2021.04.14] BTC [2020.03.13 - 2021.05.12] Crypto Total Market Cap [2020.03.13 - 2021.04.14] BTC [2020.03.13 - 2020.06.02] BTC [2020.03.13 - 2020.03.30] [2020.03.13 11:00] 2020.03.13 09시 2시간 봉 - 거래량 급등 - RSI 다이버전스: 컨펌 X - Composite Index 다이버전스: 컨펌 O (초록색 동그라미) 롱 진입 [2020.03.13 11:00] - Composite Index 다이버전스 컨펌 다음 봉(11시)에서 밑 꼬리(3783) 달고 올라올 때 - 컨펌 된 봉(9시..
-
[2017.12.17 - 2018.12.15]트레이딩/엘리어트 파동 - 분석 2022. 10. 29. 15:37
[2015.01.14 - 2018.12.15] BTC [2017.12.17 - 2018.12.15] BTC [2017.12.17 - 2018.12.15] Crypto Total Market Cap [2017.11.12 - 2018.02.06] Crypto Total Market Cap [2017.11.12 - 2018.02.06] BTC 지그재그: 파동B = 0.7, 파동C = 1.272 CTMC 확장 플랫 파동B = 1.272, 파동C = 2 파동B-B' = 삼각형 (가능성) BTC 파동5 절단 CTMC 파동4 삼각형 지그재그는 모두 파동B = 0.618 (빨간색 B-A') 파동C = 0.786
-
하위 파동에서 상위 파동으로트레이딩/엘리어트 파동 - 분석 2022. 9. 25. 03:09
엘리어트 파동 이론의 가장 기본은 하나의 주기는 상승국면과 조정국면으로 나누어지는데, 상승국면은 5파로, 조정 국면은 3파로 구성된다는 것이다. 각각의 상승국면 5개의 파동과 조정국면 3개의 파동도 마찬가지의 방식으로 한 번 더 세분화 된다. (이 과정은 끝없이 진행된다.) 위 사진을 보면 파동(1), (3), (5)는 같은 모양을 하고 있지만, 이를 뒤 따라오는 파동(2), (4)와 파동(A)는 서로 다른 모습을 하고 있다. 하위 파동을 1-2-3-4-5 임펄스 파동으로 잘 카운팅 했다고 하더라도, 상위 파동이 (1)인지 (5)인지에 따라 다음에 올 조정파동의 깊이는 달라진다. 따라서 하위 파동을 통해 상위 파동을 예측해야만 제대로 된 트레이딩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. 엘리어트 파동 이론에서 존재할..